마원 (후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원(馬援)은 중국 후한 시대의 장군으로, 전국 시대 조나라 장군 조사(趙奢)의 후손이다. 그는 신나라 말기에 농서군에서 세력을 키웠고, 광무제 유수에게 귀순하여 외효, 공손술 등과 대립하며 활약했다. 쯩 자매의 반란을 진압하고 강족을 토벌하는 등 공을 세웠으나, 무릉 토벌 중 사망 후 모함을 받아 명예가 훼손되었다. 이후 딸 마황후의 영향으로 명예가 회복되었으며, 중국과 베트남에서 신으로 숭배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마원 (후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마원 |
다른 이름 | 문연(文淵) |
시호 | 충성후(忠成侯) |
출생 | 기원전 14년 |
출생지 | 싱핑(산시 성) |
사망 | 49년 (62세) |
아버지 | 마중 |
형제 | 마광 마우 마원 마씨 부인 (누이) |
자녀 | 마료 마방 마광 마극청 마강 마황후 (후한) 다른 딸 3명 |
직업 | 군인, 정치인 |
경력 | |
주요 활동 | 군사 작전 참여 정치적 공헌 |
기타 정보 | |
관련된 산 | 푸보 산 (마원 동상 위치) |
2. 생애와 경력
마원은 전국 시대 조나라 장군 조사의 후손으로, 우부풍 무릉현(현재의 산시성셴양시싱핑시의 북동쪽) 출신이다.[11] 증조부 마통과 그의 형 마하로는 한 무제 시대의 무고의 화 평정에 공이 있었으나, 마하로는 이 난의 원인인 강충과 사이가 좋아 후환을 두려워하여 반란을 일으켰다가 살해되었고, 일족은 전한이 멸망할 때까지 벼슬길이 막혔다.
마원은 12세 때 부친이 사망하여 장형 마황에게 교육받았다. 제시를 배웠으나 훈고학을 싫어하여 북방에서 목축을 원했다. 마황은 그의 큰 뜻을 알고 허락했으나 곧 사망했고, 마원은 마황의 아내를 돌보느라 북방으로 가지 못했다.
왕망의 신 건국 후, 마원은 군의 독우로 죄수 호송 업무를 맡았으나 죄수를 불쌍히 여겨 도망치게 하고 자신도 북쪽으로 도망쳐 목축을 시작했다. 선조가 그곳에서 관리를 했던 연유로 그 땅의 우두머리가 되었고, 농업도 시작하여 따르는 사람들이 많아져 실력자가 되었다. 그는 "사내로서 괴로울 때에는 의지를 굳게 가져야 하고, 늙어서 더욱 씩씩해야 한다", "부를 얻어도 베풀지 않으면 단순한 수전노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하며, 재산을 친족과 친구에게 나누어 주고 자신은 초라한 옷을 입고 일에 열중하여 더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신나라 말기, 마원은 신성대윤[12]이 되었고, 신나라 멸망 후 농서의 외효의 부하가 되었다. 외효는 유수 (광무제), 촉의 공손술을 견제하며 마원을 촉으로 보내 내정을 탐색하게 했다. 마원은 공손술의 고압적인 태도에 실망하여 외효에게 "'''우물 안 개구리'''"라고 보고하고, 광무제에게 귀순할 것을 권했다.
28년 (건무 4년), 마원은 광무제의 사자가 되었다. 광무제는 격식 없이 "그대는 두 황제의 사이를 왕래하네. 지금 그대를 보니, 내가 미치지 못하는 점이 있을까 부끄럽네"라며 웃으며 맞이했다. 마원은 "공손술은 구면인 저에게 극을 나란히 하고 알현하게 했습니다. 폐하, 어찌 자객이 아님을 아시고 이처럼 간소하게 맞이하십니까?"라고 묻자, 광무제는 "그대는 자객이 아니라 설객일 뿐이오"라고 웃으며 답했다. 마원은 광무제의 그릇에 감복하여 그를 따르기로 하고, 광무제의 사자 래흡과 함께 농서로 돌아가 외효를 설득, 외효는 아들 외순을 인질로 보내고 마원은 래흡, 외순과 함께 낙양으로 가 광무제에게 귀순했다.
30년 (건무 6년) 외효는 광무제와 대립하다 33년 (건무 9년) 병사했다. 마원은 태중대부를 제수받고 중랑장 래흡의 부관으로 여러 장수를 감독하게 되었고, 35년 (건무 11년) 외효 잔당 토벌에 공을 세워 래흡의 추천으로 농서 태수가 되었다.
34년, 선련 강족과 여러 부족들이 금성군과 농서군의 중국군 기지를 습격했으나 한나라 군대에 의해 격퇴되었다. 35년, 마원은 임조현과 서녕강에서 선련 부족을 격파하고 만여 마리의 말, 소, 양과 상당한 양의 곡물을 노획했다. 이 전투에서 다리에 부상을 입었지만, 금성의 계곡에서 적을 몰아내고 황제의 칭찬과 함께 노획한 가축을 하사받았다.[4]
36년 (건무 12년), 광무제의 전국 통일 후 40년 (건무 16년) 교주(현재의 베트남 북부)에서 징 자매가 반란을 일으키자, 마원은 복파장군에 임명되어 토벌했다.[1] 43년 초, 홍강 삼각주에 도착하여 4월 또는 5월에 반란을 진압했다.[1]
48년 (건무 24년), 마원은 무릉 오계의 반란 토벌에 자원했다. 62세였지만 "저는 아직 말도 잘 탑니다"라며 출진을 강행, 광무제는 "과거에 쇠약하지 않았던 이 늙은이"라며 허락했다. 이듬해 봄, 임향으로 진군하여 반란군을 격파했으나, 3월 호두에서 무더위와 역병으로 병사했다.
사후, 양송은 마원이 전리품을 사유화했다고 참언했고, 광무제는 신식후의 인수를 박탈했다. 조카 마엄 등의 호소와 주발의 상소로 누명은 벗겨졌으나, 영평 초 명제가 그린 건무 연간 명신들의 초상화(운대이십팔장)에는 마원의 초상이 없었다. 78년 (건초 3년), 장제는 마원에게 충성후의 시호를 증정했다.
2. 1. 초기 생애
마원(馬援)은 현재 섬서성 싱핑 시 출신으로, 전국 시대 조나라의 장군 조사의 후손이다.[11] 그의 증조부 마통과 마통의 형 마하로는 한 무제 시대의 무고의 화 평정에 공적이 있었다. 그러나 마하로는 무고의 화의 원인인 강충과 사이가 좋았고, 그 때문에 후환이 있을까 두려워하여 반란을 일으켰다가 살해되었다. 마하로의 일족은 전한이 멸망할 때까지 금고(仕官이 불가능)되었다.마원이 12세 때 부친이 사망했고, 장형 마황이 마원을 교육하게 되었다. 마원은 제시을 배운 적이 있었지만, 당시 주류였던 한 글자 한 구절에 얽매이는 훈고학을 싫어하여 북방에서 목축을 하기를 원했다. 마황은 마원이 큰 뜻을 품고 있음을 알고 장래에 반드시 대인물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여 이를 허락했다. 그러나 마황은 곧 사망했고, 마원은 마황의 아내를 돌보게 되어 북방으로 갈 수 없게 되었다.
전한이 멸망하고 왕망이 세운 신이 성립되자, 마원은 군의 독우가 되어 죄수의 호송 업무를 맡았다. 그러나 마원은 죄수를 불쌍히 여겨 도망치게 하고 자신도 북쪽으로 도망하여 염원하던 목축을 시작했다. 마원의 선조가 이전에 그곳에서 관리를 한 적이 있어서, 마원은 그 땅의 우두머리가 되었다. 마원은 목축과 더불어 농업도 시작하여, 마원을 따르는 사람들이 잇따라 찾아와 그 땅의 실력자가 되었다. 그 무렵 마원은 사람들에게 "사내로서 괴로울 때에는 의지를 굳게 가져야 하고, 늙어서 더욱 씩씩해야 한다", "부를 얻어도 베풀지 않으면 단순한 수전노에 지나지 않는다"라고 말하며, 벌어들인 금품을 친족과 친구에게 주고 자신은 초라한 옷을 입고 일에 열중했다. 그 때문에 더욱더 사람들이 모여들게 되었다.
신나라 말기에 마원은 신성대윤[12]이 되었고, 신나라가 멸망한 후에는 농서에 할거한 외효의 부하가 되었다. 외효는 하북에 세력을 가진 유수 (광무제), 촉에 할거하여 황제를 자칭하고 있던 공손술 두 사람을 주시하면서, 내정을 조사하기 위해 공손술과 같은 고향 출신이자 구면인 마원을 촉으로 보냈다. 마원은 따뜻하게 맞아줄 것이라고 기대했지만, 공손술이 황제의 권위와 의례로 고압적인 태도를 보이자 환멸을 느꼈다. 마원은 외효에게 공손술은 "'''우물 안 개구리'''"라고 전하며, 광무제에게 귀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8년 (건무 4년), 마원은 광무제에게 사자로 파견되었다. 광무제는 예의에 얽매이지 않고 "그대는 두 황제의 사이를 왕래하는구려. 지금 그대를 보니, 내가 미치지 못하는 점이 있을까 부끄럽소"라고 웃으며 마원을 맞이했다. 마원은 그렇지 않다고 사과하며 "공손술은 구면인 저에게 극을 나란히 하고, 그 후에 저를 앞으로 나아가게 했습니다. 신은 멀리서 왔습니다. 폐하, 어찌 자객이 아님을 아시고, 예의범절이 이처럼 간소하십니까?"라고 물었다. 그러자 광무제는 "그대는 자객이 아니라 설객일 뿐이오"라고 웃으며 답했다. 이로 인해 마원은 그릇이 큰 광무제를 따르기로 결심하고, 광무제의 사자 래흡과 함께 농서로 돌아가 외효를 설득했다. 외효는 장남 외순을 인질로 보내고, 마원은 래흡, 외순과 함께 낙양으로 가서 광무제에게 신하로서 귀순했다.
2. 2. 외효와의 관계 및 광무제와의 만남
외효는 하북에 세력을 가진 유수(광무제)와 촉에서 황제를 자칭하던 공손술 두 사람을 견제하며, 내정을 탐색하기 위해 공손술과 같은 고향 출신이자 구면인 마원을 촉으로 보냈다. 마원은 따뜻하게 맞이해 줄 것이라 기대했지만, 공손술이 황제의 권위와 의례를 내세워 고압적인 태도를 보이자 환멸을 느꼈다. 이에 마원은 외효에게 공손술은 "'''우물 안 개구리'''"와 같다고 보고하며, 광무제에게 귀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1]28년 (건무 4년), 마원은 광무제의 사자로 파견되었다. 광무제는 격식에 얽매이지 않고 "그대는 두 황제 사이를 왕래하는구려. 지금 그대를 보니, 내가 미치지 못하는 점이 있을까 부끄럽소"라며 웃으며 마원을 맞이했다. 마원은 사과하며 "공손술은 구면인 저를 뜰 아래 극을 나란히 세워놓고 알현하게 했습니다. 신은 멀리서 왔습니다. 폐하, 어찌 제가 자객이 아님을 아시고 이토록 간소한 예절로 맞이하십니까?"라고 물었다. 광무제는 "그대는 자객이 아니라 유세객일 뿐이오"라고 웃으며 답했다. 이에 마원은 광무제의 대범함에 감복하여 그를 따르기로 결심하고, 광무제의 사자인 내흡과 함께 농서로 돌아가 외효를 설득했다. 외효는 장남 외순을 인질로 보내고, 마원은 내흡, 외순과 함께 낙양으로 가서 광무제에게 신하로서 귀순했다.[11]
2. 3. 강족 토벌
34년, 선련 강족과 여러 부족들이 금성군과 농서군의 중국군 기지를 습격했으나 한나라 군대에 의해 격퇴되었다. 몇 달 후, 래계가 공손술과의 전투에서 사망했지만, 그의 조력자이자 농서군 태수인 마원은 강족에 대한 작전을 계속했다.[4] 35년, 선련 부족은 먼저 농서의 임조현에서, 그리고 금성군의 서녕강을 따라 다시 패배했다. 두 차례의 작전에서 마원은 만여 마리의 말, 소, 양과 상당한 양의 곡물을 노획했다. 그는 마지막 전투 중 다리에 부상을 입었고, 적을 완전히 섬멸하지는 못했지만 금성의 계곡에서 몰아냈으며, 황제의 칭찬과 그가 노획한 수천 마리의 가축을 하사받았다.[4]35년 마원의 승리는 비록 강족 구성원들이 국경을 넘어 도망쳤음에도 불구하고, 선련 부족의 세력을 꺾었고, 옛 변경 지역에 중국의 지위를 회복할 수 있게 했다.[4]
2. 4. 쯩 자매의 반란 진압
40년 (건무 16년) 교주(현재의 베트남 북부)에서 징 자매가 반란을 일으키자, 이듬해 마원은 복파장군에 임명되어 이들을 진압했다.[1] 마원과 그의 참모들은 중국 남부에서 한나라 군대를 동원했는데, 약 1만 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다.[3] 마원은 광둥성에서 해안을 따라 보급선을 파견하고,[1] 험난한 지형을 통해 군대를 이끌고 홍강 삼각주로 향했다. 서기 43년 초에 그곳에 도착하여 4월 또는 5월에 반란을 진압했다.[1]2. 5. 죽음
49년, 무릉 (현재의 귀주성 동부와 호남성 북서부) 토벌 원정 중 마원은 역병에 걸려 사망했으며, 그의 많은 병사들 또한 이 역병으로 사망했다.[4]그가 죽은 후, 마원의 전략에 반대했던 부관 경서(耿舒)와 마원에게 앙심을 품고 있던 광무제의 사위 양송(梁松)은 마원에게 많은 죄를 뒤집어씌웠다. 알려진 두 가지 구체적인 혐의는 마원이 무릉 토벌에 나선 경로 때문에 역병이 발생했다는 것과, 원정 중에 횡령하여 진주와 코뿔소 뿔을 빼돌렸다는 것이었다. 후자의 혐의는 마원이 역병을 막을 수 있다고 여겼던 즐겨 먹는 음식, 즉 중국 남부와 베트남 북부에서 생산되는 율무를 대량으로 낙양으로 운송한 것을 오해한 것이다.[4] 광무제는 이러한 허위 혐의를 믿고 사후에 마원의 봉토와 후작 작위를 박탈했다.[4]
마원의 딸은 57년에 후한의 마황후가 되었고,[4] 그 후 그의 명예는 회복되었다.
78년(건초 3년), 장제는 마원에게 충성후의 시호를 증정했다.
3. 유산
마원은 생전에 많은 업적을 남겼으며, 그의 유산은 다양한 형태로 후대에 전해졌다.
- 성어: 마원과 관련된 유명한 성어 두 가지가 있다.
- "말가죽으로 시신을 싼다"(): 병사로서 책임을 다하기 위해 전장에서 죽어 말가죽에 시신이 싸이는 것을 의미한다. 마원이 친구에게 군 복무를 계속하고 싶어하는 이유를 설명하며 이 표현을 사용했다.[10]
- "호랑이를 잘못 그리면 개가 된다"(畫虎不成反類犬중국어): 훌륭한 인물을 모방하려다 실패하면 오히려 경박한 사람이 될 수 있다는 경고이다. 마원이 조카들에게 두보를 모방할 때 주의하라고 경고한 데서 유래했다.[10]
- 문학 작품:
- 미야기야 마사미츠의 소설 『말 위의 별 소설·마원전』 (2022년)이 주오코론신샤에서 출간되었다.
- 《삼국지연의》에서 제갈량은 맹획과 남만의 반란을 진압하러 가는 길에 마원의 사당에서 영감을 받았다.[10]
3. 1. 사후 평가 및 숭배
마원은 중국과 베트남의 수많은 사원에서 신으로 숭배받고 있다. 후난성, 주저우현과 광시성, 헝현의 복파 사당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광시성 구이린의 복파산과 복파 공원 또한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6][7][5]19세기와 20세기 동안 한나라 장군에게 헌정된 베트남 사당은 꽌로아, 타인호아성, 푸옌성, 박닌성에도 존재했다. 박닌의 한 마을에서 1938년 보고서에 따르면 마원을 숭배하는 것 외에도 쯩 자매를 그들의 주요 수호신으로 숭배했다고 한다. 베트남 남부에서 마원에게 헌정된 사당은 주로 중국 사당이나 중국계 베트남인 공동체와 관련된 지역에 위치해 있었다. 마원을 숭배하는 관습은 중국 이민자들이 가져온 것으로 여겨졌지만, 역사가 리타나는 "이야기가 그 반대였을 가능성이 크다. 즉, 중국인들이 베트남인으로부터 마원 숭배를 받아들였다"고 표현했는데, 이는 마원이 지역 신으로 베트남에서 이미 널리 숭배되었고 마원을 ''반토공''(bản thổ công, "지역 정령")이라고 불렀기 때문이다.[7]
1979년 중월 전쟁 이후 베트남에서 마원 숭배가 대대적으로 사라지기 전까지 하노이의 백마 사원에서 어떤 형태로든 숭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1956년 에콜 프랑세즈 도 익스트렘-오리앙(École française d'Extrême-Orient)에서 발간된 부 당 민(Vũ Đăng Minh)과 응우옌 푸 호이(Nguyễn Phú Hợi)의 책에는 사원에 마원의 조각상이 있었다고 묘사되어 있으며, 하노이 행정 문화국은 1984년까지 사원에 마원의 조각상이 존재했음을 기록했다. 21세기 초, 사원 근처에 거주하는 중국계 베트남인들은 이전에 사원에서 마원이 숭배되는 것을 들어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6][5]
사원에서 숭배되었던 원래의 신은 백마(하노이의 수호신으로 용 도(Long Đỗ) 신과 합쳐짐) 또는 마원이었을 수 있다. 원래의 신은 나중에 중국 이민자와 여행자들이 이름을 마원과 혼동하기 전에는 백마였을 수 있다. 역사학자 올가 드로르(Olga Dror)는 두 가지 대안적 가능성을 제시한다. 즉, 백마가 17세기부터 중국인 정착민들의 새로운 물결이 두 신을 합치기 전까지 사원에서 더 오래된 중국 및 킨(Kinh) 공동체에 의해 원래 숭배되었거나, 마원이 원래 사원에서 숭배되었으나 북속 시대 이후 잊혀지고 백마 숭배로 대체되었을 가능성이 있다.[5][6][7]
3. 2. 성어
마원은 두 가지 중국 성어의 근원이 되었다. 하나는 "말가죽으로 시신을 싼다"()는 것으로, 병사로서의 책임을 다하기 위해 기꺼이 전장에서 죽어 말가죽에 시신이 싸이는 것을 의미한다. 마원은 친구에게 군 복무를 계속하고 싶어하는 이유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이 문구를 언급했다. 다른 하나는 "호랑이를 잘못 그리면 개가 된다"(畫虎不成反類犬중국어)는 것으로, 그의 조카들에게 그 시대의 유명한 영웅인 두보(杜保)를 모방하려다, 그만큼 영웅적이지 못하면 경박한 건달이 될 수 있다는 경고를 담아 그들의 행동에 주의하라고 한 말이다.[10]3. 3. 문학 작품
《삼국지연의》에서 제갈량은 맹획과 남만의 반란을 진압하러 가는 길에 마원의 사당에서 영감을 받았다.[10]마원은 두 가지 중국 성어의 근원이 되었다. 하나는 "말가죽으로 시신을 싼다"()는 것으로, 병사로서의 책임을 다하기 위해 기꺼이 전장에서 죽어 말가죽에 시신이 싸이는 것을 의미한다. 마원은 친구에게 군 복무를 계속하고 싶어하는 이유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이 문구를 언급했다. 다른 하나는 "호랑이를 잘못 그리면 개가 된다"(畫虎不成反類犬중국어)는 것으로, 그의 조카들에게 그 시대의 유명한 영웅인 두보(杜保)를 모방하려다, 그만큼 영웅적이지 못하면 경박한 건달이 될 수 있다는 경고를 담아 그들의 행동에 주의하라고 한 말이다.
- 미야기야 마사미츠 『말 위의 별 소설·마원전』 주오코론신샤, 2022년
4. 가계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1: The Ch'in and Han Empires, 221 B.C.–A.D. 22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Ma Yuan
http://www.mountains[...]
Mountain Songs
2013-01-11
[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1: The Ch'in and Han Empires, 221 B.C.–A.D. 220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Notable Women of China: Shang Dynasty to the Early Twentieth Century
Routledge
[5]
서적
Opusculum de Sectis apud Sinenses et Tunkinenses: A Small Treatise on the Sects among the Chinese and Tonkinese
Cornell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Mã Viện's Memorials in Vietnam
https://www.bbc.com/[...]
BBC Vietnamese
2005-06-29
[7]
간행물
Opusculum de sectis apud Sinenses et Tunkinenses (A Small Treatise on the Sects among the Chinese and Tonkinese): A Study of Religion in China and North Vietnam in the Eighteenth Century by Adriano Di St. Thecla, Olga Dror, Mariya Berzovska
[8]
서적
Gods, Heroes, and Ancestors: An Interreligious Encounter in Eighteenth-Century Vietnam
Oxford University Press
[9]
간행물
Về vị thần thờ ở đền Bạch Mã phố Hàng Buồm, Hà Nội
http://www.hannom.or[...]
Institute of Hán-Nôm Studies
1996
[10]
서적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11]
문서
新唐書』宰相世系表二下によると、趙奢-趙牧-馬興-馬嵩-馬述-馬権-馬通-馬賓-馬仲-馬援とつづく。
[12]
문서
漢中郡太守の新制での呼称。王莽が改名した。
[13]
문서
『東観漢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